본문 바로가기
안전/전기안전

동기전동기란?

by safetymasteryu 2025. 3. 18.
반응형

 

1. 동기전동기란?

 

동기전동기는 회전자의 회전 속도가 공급 전원의 주파수와 동기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전동기입니다.


주로 산업용 대형 장비, 발전소, 정밀 속도 제어가 필요한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2. 동기전동기의 동작 원리

 

  • 동기전동기는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동기화된 자기장이 형성됩니다.
  • 고정자(Stator)에는 삼상 교류 전원이 공급되며, 회전자(Rotor)는 직류 전류(DC)를 공급받아 일정한 극을 유지합니다.
  • 회전자의 자기장이 고정자의 회전 자기장과 동기화되면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합니다.

 


3. 동기전동기의 주요 특성

 

동기 속도 유지

 

  • 부하 변동과 관계없이 공급 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회전합니다.
  • 동기 속도(Ns)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  

 

속도 조절이 어려움

  • 유도전동기(Induction Motor)와 달리, 속도 조절이 어렵고 일정 속도로만 동작합니다.
  • 주파수 변환기(VFD) 또는 극수 변경을 통해 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외부 전원 공급이 필요함

  • 회전자에 직류(DC) 전원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여자 장치(Exciter)가 필요합니다.
  • 여자 방식에 따라 자체 여자(Self-excited) 또는 별도 여자(Separately-excited) 방식이 사용됩니다.

 

역률 조정 가능

  • 동기전동기는 진상(PF > 1), 지상(PF < 1), 역률 1(PF = 1) 운전이 가능합니다.
  • 역률 조정이 가능하므로 전력망의 역률 개선 용도로도 사용됩니다.

 

기동이 어려움

  • 동기전동기는 자체적으로 기동하지 못하며, 기동을 위해 유도전동기 방식이나 외부 기동 장치가 필요합니다.
  • 보조 기동장치로는 댐퍼 권선(Damper Winding) 또는 가변 주파수 기동(VFD)이 사용됩니다.

 


4. 동기전동기의 장점과 단점

 

✅ 장점

 

정확한 속도 유지 – 부하 변화에도 일정한 속도를 유지할 수 있음.
역률 개선 가능 – 전력망의 역률 조정 및 보상 기능 수행.
고효율 운전 – 큰 부하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전 가능.
고출력 가능 – 대형 공장, 발전소에서 높은 출력 전동기로 사용.

 

 

❌ 단점

 

기동 어려움 – 별도의 기동 장치 필요.
속도 조절 불가능 – 주파수를 변경하지 않는 한 일정한 속도 유지.
복잡한 구조 – 여자 회로 및 보조 기동장치 필요.
초기 비용 높음 –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비쌈.

 


5. 동기전동기의 활용 분야

 

대형 산업용 장비 – 펌프, 압축기, 컨베이어 시스템
발전소 – 전력 계통의 역률 보상용
철강 및 시멘트 산업 – 일정한 속도가 필요한 대형 장비 구동
정밀 기계 가공 – CNC 머신, 로봇 시스템

 


6. 결론

 

동기전동기는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는 특성이 강하며, 역률 보정 및 고효율 운전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기동이 어렵고 속도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어, 산업용 고출력 기계 및 발전소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특정한 전력 계통에서 역률 보상 및 에너지 절약을 위한 중요한 장치로 활용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