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전기는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로,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그중에서도 직류 발전기(DC Generator) 는 계자(자기장)를 형성하는 방식에 따라 네 가지로 구분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타여자 발전기, 직권 발전기, 분권 발전기, 복권 발전기의 개념과 특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1. 타여자 발전기
개념
- 타여자 발전기는 계자 권선(자기장을 생성하는 권선)에 전력을 외부 전원에서 공급하는 발전기입니다.
- 즉, 전기자와 계자 회로가 완전히 독립적으로 동작합니다.
특징
✅ 출력 전압 조절 용이 – 외부 계자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여 쉽게 전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 부하에 따른 전압 변동이 적음 – 부하 전류에 의한 자기장 변화가 없어, 일정한 전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외부 전원 필요 – 계자 권선을 위한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므로, 추가적인 전원 공급 장치가 필요합니다.
✅ 실험 및 산업용 활용 – 실험실, 정밀 제어 시스템, 전기화학 공정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2. 직권 발전기
개념
- 직권 발전기는 계자 권선과 전기자 권선이 직렬로 연결된 발전기입니다.
- 부하 전류가 직접 계자 권선을 흐르면서 자기장을 형성합니다.
특징
✅ 부하 전류에 따라 전압이 크게 변동 – 무부하 상태에서는 전압이 거의 0V에 가까우며, 부하가 증가하면 전압이 급격히 상승합니다.
✅ 무부하시 사용할 수 없음 – 부하가 없을 경우 계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발전이 되지 않습니다.
✅ 전압 조절이 어려움 – 계자 권선이 전기자 전류에 의존하므로,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 고출력 필요 시스템에서 활용 – 전차, 전기 용접기, 크레인 및 엘리베이터 등 단시간 동안 큰 전력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됩니다.
3. 분권 발전기
개념
- 분권 발전기는 계자 권선이 전기자 권선과 병렬로 연결된 발전기입니다.
- 계자 권선이 일정한 전압을 공급받아 비교적 일정한 자기장을 유지합니다.
특징
✅ 출력 전압이 비교적 일정 – 부하 변화가 있어도 전압 변동이 크지 않음.
✅ 부하에 따른 계자 전류 변화가 적음 – 자기장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 부하 전류가 증가하면 출력 전압이 약간 감소 – 내부 저항으로 인해 전압 강하 발생.
✅ 배터리 충전기, 전등회로 등에 사용 – 일정한 전압 공급이 필요한 장치에 적합합니다.
4. 복권 발전기
개념
- 복권 발전기는 직권 권선과 분권 권선을 모두 가진 발전기입니다.
- 계자 권선이 전기자와 병렬(분권)로 연결되면서 일부가 직렬(직권)로 연결됩니다.
특징
✅ 전압 변동을 최소화 – 직권과 분권의 장점을 결합하여 부하 변화에 강합니다.
✅ 두 가지 형태 존재
- 가중 복권 발전기: 직권 권선이 분권 권선의 효과를 증가시켜 부하 증가 시 전압이 약간 상승함.
- 차동 복권 발전기: 직권 권선이 분권 권선의 효과를 감소시켜 부하 증가 시 전압이 감소함.
- ✅ 일반적으로 가중 복권 발전기가 많이 사용됨 – 대형 전력 시스템, 전차, 엘리베이터 등 부하 변동이 큰 곳에서 활용됩니다.
비교 정리 | 발전기 종류별 차이점
구분 | 타여자발전기 | 직권발전기 | 분권발전기 | 복권발전기 |
계자 권선 연결 방식 | 외부 전원 사용 | 전기자와 직렬 | 전기자와 병렬 | 직렬 + 병렬 혼합 |
출력 전압 특성 | 조절 용이, 일정 | 부하 증가 시 전압 상승 | 비교적 일정 | 부하 변화에 강함 |
무부하 운전 가능 여부 | 가능 | 불가능 | 가능 | 가능 |
사용 용도 | 실험, 제어 시스템 | 용접기, 크레인 | 배터리 충전, 조명 | 전차, 엘리베이터 |
결론
각 발전기는 특성에 따라 적절한 용도가 다릅니다.
- 타여자 발전기는 정밀한 전압 제어가 필요한 경우 적합합니다.
- 직권 발전기는 순간적으로 큰 부하가 필요한 곳에 사용됩니다.
- 분권 발전기는 일정한 전압 공급이 필요한 장치에 유리합니다.
- 복권 발전기는 부하 변동이 심한 곳에서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안전 > 전기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리스터(Thyristor)란? 특성과 원리 (1) | 2025.03.10 |
---|---|
3상 유도전동기 속도 제어법 (0) | 2025.03.10 |
전기자 반작용 이란? (0) | 2025.03.10 |
직류발전기 (계자,전기자, 정류자)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5.02.27 |
플레밍의 오른손법칙과 플레밍의 왼손법칙 (0)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