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기사 시험을 보려면 한국산업인력공단(Q-Net)에서 정한 학력 및 경력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아래에 자세히 설명할게요.
1. 전기기사 응시자격
전기기사 시험에 응시하려면 아래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합니다.
① 관련 학력 보유자

> 전기·전자 관련 학과 예시: 전기공학, 전자공학, 전기전자공학, 전기제어공학 등
② 실무 경력 보유자
전기 관련 분야에서 실무 경력이 있는 경우 학력 없이도 응시할 수 있습니다.

> 실무 경력 인정 분야: 전기 설비 설계, 유지보수, 시공, 전기 안전관리, 변전 및 송·배전 업무 등
③ 산업기사 자격증 소지자

즉, 전기산업기사 자격증이 있으면 학력 없이도 1년 경력만으로 전기기사 시험 응시가 가능합니다.
2. 전기기사 시험과목 및 합격 기준
전기기사 시험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나뉘며, 과목과 합격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필기시험 (객관식, 100점 만점)

✅ 합격 기준: 과목당 40점 이상, 전체 평균 60점 이상
② 실기시험 (주관식, 100점 만점)

✅ 합격 기준: 60점 이상
3. 시험 일정 및 준비 방법
시험은 1년에 3회 실시됩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필기시험 합격자는 실기시험 응시 가능하며, 필기시험 합격 유효기간은 2년입니다.
기본 이론을 익힌 후 기출문제 풀이가 필수입니다.
4. 응시 방법
1. Q-Net(큐넷) 홈페이지(https://www.q-net.or.kr)에서 회원가입
2. 응시자격 확인 후 시험 접수
3. 지정된 시험장에서 필기시험 및 실기시험 응시
4. 합격 후 전기기사 자격증 발급 신청
결론
4년제 전기 관련 학과 졸업 예정자라면 바로 응시 가능
2~3년제 졸업자는 실무 경력 필요
전기산업기사 소지자는 1년 실무 후 응시 가능
학력 없이도 고졸(4년) 경력으로 응시 가능
반응형
'안전 > 전기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자동차 배터리 방전 이유, 관리방법 (0) | 2025.02.01 |
---|---|
전기기능사 취득하고 취직할 수 있나요? (0) | 2025.02.01 |
원룸, 가정집에서 누전 발생 시 대처방법 (0) | 2025.02.01 |
공장 모터 화재 발생시 대처 방법 (1) | 2025.01.31 |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4가지 (0) | 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