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소방

광전식 스포트형 연기감지기란?

by safetymasteryu 2025. 4. 3.
반응형

화재 발생 시 연기를 빠르게 감지하는 정밀 센서 장비

 

광전식 스포트형 연기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연기 입자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대표적인 화재 감지 장치입니다.
주로 실내 천장에 설치되며, 광센서(광전관)를 이용해 연기의 농도를 판단합니다.

 


작동 원리

 

빛의 산란(확산)을 이용한 연기 감지 방식

 

  1. 감지기 내부에는 LED 광원광센서(포토다이오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2. 평상시에는 LED 빛이 직접 광센서에 닿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3. 화재로 인해 연기가 감지기 내부로 유입되면,
  4. 연기 입자에 의해 빛이 산란(Scatter) 되어 일부 빛이 광센서에 닿습니다.
  5. 이 빛을 감지하면 연기 발생으로 판단하고 경보를 발생시킵니다.


광전식 스포트형 감지기의 구성

 

  • LED 광원: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 사용
  • 광센서(포토다이오드): 산란된 빛을 감지
  • 감지실: 연기가 유입되는 공간
  • 기판 및 제어회로: 연기 감지 후 신호 처리
  • 커버 및 설치 브래킷: 천장에 부착되는 외형


장점

 

연기에 민감하여 초기 화재 감지에 유리
오작동이 적고, 안정적인 감지 가능
설치가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쉬움
일반 가정, 사무실, 학교, 병원 등 다양한 공간에 적합

 


단점

 

⚠️ 짙은 연기에는 민감하지만, 화염만 발생하는 경우 감지 어려움
⚠️ 먼지나 오염에 의한 감지 오류 가능성 있음 (정기 점검 필요)

 


광전식 스포트형 vs 이온화식 연기감지기


 

구분 광전식 감지기 이온화식 감지기
감지 방식 빛의 산란 이온 전류 변화
민감도 짙은 연기에 민감 초기 연무에 민감
설치 장소 일반 실내 공간 좁고 밀폐된 공간
방사성 물질 사용 ❌ 없음 ✅ 있음 (미량 사용)

 

설치 시 유의사항

 

  • 천장 중심부나 연기가 잘 모이는 위치에 설치
  • 에어컨, 환기구 근처는 피해야 함 (공기 흐름으로 인해 감지 실패 가능)
  • 정기적인 청소 및 시험 작동 필요

 


결론

 

광전식 스포트형 연기감지기
연기에 민감하게 반응해 초기 화재를 빠르게 감지하는 필수적인 안전장비입니다.


설치가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쉬워 소방시설, 일반 건물, 주택 등
다양한 공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