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대 화재 감지 시스템은 단순한 열 또는 연기 감지에서 벗어나, 보다 정밀하고 신뢰도 높은 감지를 위한 다양한 감지기술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주목받는 기술이 바로 다신호식 감지기와 복합형 감지기입니다. 이름은 비슷하지만, 두 기술은 감지 원리와 처리 방식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다신호식 감지기와 복합형 감지기의 정의, 작동 원리, 주요 차이점과 활용 분야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다신호식 감지기란?
다신호식 감지기는 2가지 이상의 감지 신호(열 + 연기 등)를 동시에 받아들이고, 이를 통합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고급 감지기입니다.
✅ 특징
- 감지 요소: 보통 열 + 연기 또는 열 + 연기 + CO
- 판단 방식: 복합 알고리즘 사용
→ 단순한 "신호 모두 감지"가 아닌, 패턴 분석과 시간 조건 등이 포함된 정밀한 판단
✅ 장점
- 오작동 방지에 탁월 (비화재보 줄임)
- 정확한 화재 판단 가능
- 지능형 제어 시스템과 연동 용이
✅ 활용 예
- 병원, 호텔, 데이터센터 등 정밀 감지가 필요한 장소
복합형 감지기란?
복합형 감지기는 2가지 이상의 감지 센서를 내장하여, 각 감지기별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둘 중 하나라도 작동하면 경보가 발생하는 구조입니다.
✅ 특징
- 감지 요소: 열 + 연기, 또는 다른 조합
- 판단 방식: "OR" 조건
→ 하나라도 작동 시 감지기 전체 작동
✅ 장점
- 감지 신뢰도 향상
- 설치 공간 절약 (두 종류 감지기를 하나로 통합 가능)
✅ 활용 예
- 일반적인 건물, 창고, 상업 시설 등
다신호식 vs 복합형 감지기 비교
구분 | 다신호식 감지기 | 복합형 감지기 |
감지 방식 | 통합 알고리즘 분석 | 각 감지기 개별 판단 |
작동 조건 | 정밀 조건 충족 시 작동 | 둘 중 하나만 작동해도 경보 |
감도 조절 | 가능 (지능형 분석) | 상대적으로 단순 |
오작동 방지 | 우수 (비화재보 감소) | 다소 오작동 우려 존재 |
설치 장소 | 민감 환경 (병원, 데이터센터 등) | 일반 장소 (사무실, 상가 등) |
결론: 어떤 감지기를 선택해야 할까?
- 정밀 감지와 오작동 방지가 중요하다면 → 다신호식 감지기
- 경제성, 공간 절약, 설치 간편성이 중요하다면 → 복합형 감지기
두 감지기 모두 화재 대응을 위한 중요한 기술이며, 설치 환경에 따라 적절한 기종을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최근에는 AI 기반 다신호식 감지기도 등장해 더 높은 정확도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안전 >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전식 스포트형 연기감지기란? (0) | 2025.04.03 |
---|---|
아파트 계단 물건적재 소방법 위반? (0) | 2025.03.29 |
보상식 열감지기란? (0) | 2025.03.27 |
정온식 스포트형 열감지기 (바이메탈, 금속팽창계수) (0) | 2025.03.27 |
서미스터(NTC, PTC, CTR)란? (1)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