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전기안전84 플레밍의 오른손법칙과 플레밍의 왼손법칙 플레밍의 법칙은 전자기학에서 전류, 자기장, 힘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법칙은 플레밍의 오른손법칙과 왼손법칙으로 나뉘며, 각각 발전기와 전동기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플레밍의 법칙을 수식과 함께 자세히 설명하고, 각 손가락이 의미하는 요소와 두 법칙의 차이를 정리하겠습니다.1.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 발전기(유도기전력) 원리 적용 🔹 정의: 도체가 자기장 내에서 움직일 때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결정하는 법칙🔹 수식: 🔹 손가락 방향과 의미엄지 (Thumb) → 도체의 운동 방향검지 (Index Finger) → 자기장의 방향 (N → S)중지 (Middle Finger) → 유도된 전류 방향💡 적용 예시:발전기에서 도체가 움직일.. 2025. 2. 27. 콘센트에 물이 들어갔어요! 콘센트에 물이 들어가면 안되요! 1. 콘센트에 물이 들어가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콘센트에 물이 들어가면 감전, 누전, 화재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은 전기를 매우 잘 통하는 전도체이기 때문에, 내부 회로가 합선(쇼트)되거나 전기가 새어 나올 가능성이 큽니다. 🔹 주요 위험 요소 ✔ 감전 위험 – 물이 있는 상태에서 콘센트를 만지면 강한 전기에 감전될 수 있음✔ 누전(전기가 새는 현상) – 물이 들어가면 전기가 비정상적으로 흐를 수 있어 감전 및 화재 가능성 증가✔ 합선(쇼트)으로 인한 화재 위험 – 내부 전선이 합선되면 불꽃(스파크)이 발생하고, 심하면 화재로 이어질 수 있음2. 콘센트에 물이 들어갔을 때 올바른 대처 방법 🔸 1단계: 전기 차단(즉시 차단기 OFF!) ✔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집 안의 차단기(두꺼비집.. 2025. 2. 27. 소형 원자력 발전이란? AI와 무슨 관계 있을까? 1. 소형 원자력 발전(SMR)이란? 소형 원자로(Small Modular Reactor, SMR)는 기존 대형 원자력 발전소보다 작고 효율적인 원자로를 의미합니다.일반 원자로보다 크기가 작고, 모듈 형태로 생산할 수 있어 설치가 쉽고 비용이 절감됩니다. 최근 AI 발전과 데이터 센터의 전력 수요 증가로 소형 원자력 발전(SMR)이 주목받고 있으며, 미국 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도 이 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2. AI 발전과 소형 원자력 발전이 왜 관련이 있을까? AI가 발전할수록 엄청난 연산 능력이 필요해지고, 이에 따라 데이터 센터의 전력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습니다.AI 데이터 센터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려면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전력 공급이 필수적입니다.소형 원자로(SMR)는 이런 문제를 해.. 2025. 2. 27. AI가 성장하면 AI 데이터 센터가 왜 중요할까? 1. AI 데이터 센터란? AI 데이터 센터는 인공지능(AI)의 학습과 실시간 처리를 위해 최적화된 서버 인프라를 갖춘 시설입니다. 기존 데이터 센터와 달리, 고성능 GPU 및 TPU와 같은 AI 전용 하드웨어를 활용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2. AI 발전과 데이터 센터의 관계 AI 기술이 발전할수록 데이터 센터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딥러닝 모델의 훈련과 추론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데이터와 연산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이를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해 AI 데이터 센터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① 고속 데이터 처리 및 저장AI 모델은 수십억 개의 데이터를 학습해야 하므로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와 안정적인 저장 공간이 필수적입니다. 고성능 AI 데이터 센.. 2025. 2. 27. PLC는 어디로 취업 할 수 있을까? 1.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란? PLC(프로그램 가능 논리 컨트롤러)는 산업 자동화 시스템에서 기계와 장비를 제어하는 컴퓨터 기반 컨트롤러입니다.공장에서 센서, 모터, 밸브 등과 연계하여 자동화 공정을 제어하며, 자동화 설비의 핵심 요소로 사용됩니다. 2. PLC를 활용한 자동화 연계 방법 ① PLC 자동화의 기본 원리 PLC는 입력(센서) → 논리 제어(프로그램) → 출력(모터, 밸브) 순서로 동작합니다.PLC 자동화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와 연계하여 구현됩니다. 구성 요소 역할 및 기능입력 장치버튼, 센서(근접 센서, 온도 센서, 광 센서 등)PLC 본체논리 연산, 신호 처리, 제어 명령 수행출력 장치모터, 릴레이, 밸브, 알람, 디스플레.. 2025. 2. 27. 콘덴서(캐패시터)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콘덴서(캐패시터)란?콘덴서(캐패시터, Capacitor)는 전기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전자 부품으로, 다양한 전자기기 및 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주로 전압 안정화, 노이즈 제거, 에너지 저장, 교류 신호 차단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2. 콘덴서를 사용하는 이유 ✅ 1) 전압 안정화 및 필터링전원의 순간적인 전압 변동(리플 현상)을 줄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전원 회로에서 DC 전압을 부드럽게 만드는 역할대표적인 예: 전원 필터링(스위칭 전원, SMPS) ✅ 2) 노이즈 제거(디커플링, 바이패스 콘덴서)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여 회로의 신호 품질을 향상디커플링(Decoupling): 전자 부품 간의 간섭 방지바이패스(Bypass): 신호 회로에서 불필요한 고주파 제거 ✅ 3) 교류 신호 차단 및.. 2025. 2. 27. 이전 1 2 3 4 5 6 7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