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온식 스포트형 열감지기는 일정 온도에 도달했을 때 작동하는 점형화재 감지기로, 화재로 인해 주위 온도가 상승하면 미리 설정된 온도에서 즉시 경보를 울리는 장치입니다.
주로 천장에 부착되어 공간 내 온도 변화를 감지하며, 다양한 구조 방식에 따라 정확하고 안정적인 화재 감지를 수행합니다.
이 감지기의 대표적인 작동 원리는 다음 세 가지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1. 바이메탈 활곡형
- 작동 원리: 두 종류의 금속을 붙여 만든 바이메탈이 열에 의해 휘어지는 성질을 이용
- 설명: 서로 팽창계수가 다른 금속이 온도 상승 시 서로 다른 비율로 팽창하면서 바이메탈이 휘어짐. 휘어진 금속이 전기 접점을 연결하면서 감지기 작동
- 특징: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 비용이 낮음
- 용도: 일반적인 실내 환경, 상업용 건물 등에 널리 사용
예: 바이메탈이 휘어져서 회로를 닫는 순간 화재 신호가 발생함.
2. 바이메탈 반전형
- 작동 원리: 바이메탈이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순간적으로 반전(Snap)되어 접점 작동
- 설명: 활곡형과 달리, 점점 휘어지다가 일정 온도에서 갑작스럽게 뒤집힘(반전). 이 반전으로 내부 접점이 닫히거나 열려 경보를 발생시킴
- 특징: 작동 시점이 명확하고 빠름, 정확한 감지 온도 제어 가능
- 장점: 반응 속도가 빠르고 반복 작동이 가능함
예: 가정용 전기온열기, 가전제품의 과열 방지 센서에도 사용
3. 금속 팽창계수 이용형
- 작동 원리: 두 금속의 열팽창 차이를 이용해 접점 이동 유도
- 설명: 서로 다른 팽창계수를 가진 금속 부품이 온도 상승에 따라 미세하게 이동하며 내부 접점을 밀거나 당겨 작동
- 특징: 고정밀 감지 가능, 환경 변화에 민감하지 않음
- 용도: 정밀한 화재 감지 요구 환경, 산업용 설비 등
예: 설정 온도 이상에서 금속 부품이 충분히 팽창하면 접점이 밀려 작동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 vs 차동식 감지기
구분 | 정온식스포트형 | 차동식감지기 |
감지 방식 | 설정 온도 도달 시 작동 | 온도 상승 속도 감지 |
장점 | 명확한 작동 온도 | 빠른 화재 대응 가능 |
단점 | 작동까지 시간 소요 | 급격한 온도 변화 없으면 작동 안 함 |
결론: 바이메탈과 금속 팽창, 아날로그 감지의 정수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는 바이메탈의 휘어짐이나 반전, 금속의 팽창 특성을 이용해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열 감지 시스템입니다.
전자식보다 구조는 단순하지만, 신뢰성과 내구성이 높아 다양한 환경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전원이 필요 없는 수동형 구조 덕분에 정전 시에도 작동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반응형
'안전 >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신호식 감지기와 복합형 감지기 차이점은? (0) | 2025.03.27 |
---|---|
보상식 열감지기란? (0) | 2025.03.27 |
서미스터(NTC, PTC, CTR)란? (1) | 2025.03.27 |
압전 효과란? (1) | 2025.03.27 |
중문 설치가 소방법 위반이라고?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