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7

공사중인 건물을 지나갈때 주의하세요! 1. 공사 중인 건물을 지나갈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 공사 현장은 다양한 위험 요소가 존재하며, 안전 수칙을 지키지 않으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주요 위험 요소 1️⃣ 낙하물 위험건물 외벽 보수, 철골 구조 작업 시 자재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음.안전모 없이 이동 시 큰 부상 위험 2️⃣ 미끄럼 및 낙상 사고공사장 주변은 비산 먼지, 젖은 바닥, 공사 자재 등으로 인해 미끄러지기 쉬움.발을 헛디디면 낙상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3️⃣ 소음 및 분진 노출콘크리트 타설, 철골 가공 등으로 인해 높은 소음 발생.장시간 노출 시 청력 손상 및 호흡기 질환 유발 위험 4️⃣ 중장비 및 차량 이동 위험공사 현장에서는 크레인, 굴착기, 덤프트럭 등 대형 장비가 이동함.운전자의 사각지대로 인해 보행.. 2025. 3. 14.
자동전격방지기 설치방법 1. 자동전격방지기란? 자동전격방지기는 감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기 설비에 설치하는 보호 장치입니다.전류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감전 위험을 줄여줍니다.  💡 주요 기능감전 위험 자동 차단전압 이상 감지 및 보호작업자의 안전 확보2. 자동전격방지기 설치 방법 ✅ 설치 전 준비사항설치 환경 확인: 연직(불가피한 경우 20도 이내)으로 설치배선 점검: 용접기 및 전격방지기 연결 상태 확인필수 도구 준비: 절연 테이프, 절연 카바, 드라이버, 테스터기✅ 설치 단계 1️⃣ 설치 위치 선정전격방지기는 연직(20도 이내)으로 설치용접기의 이동, 전자접촉기 작동, 진동 및 충격에 의해 걸리지 않도록 안전한 위치에 부착 2️⃣ 표시등과 점검 스위치 설치표시등이 쉽게 보이도록 배치하여 작동.. 2025. 3. 14.
1차적 감전 위험 요소 및 영향력 1. 감전이란? 감전은 전류가 인체를 통과하면서 생리적 반응을 일으키는 현상을 의미합니다.전류의 크기, 통전 시간, 통전 경로, 전원의 종류에 따라 감전의 위험성이 달라집니다. ✅ 감전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 전기 기기의 절연 불량 또는 노후된 배선물기 또는 습기 있는 환경에서 전기 사용감전 방지 장치(누전 차단기 등) 미설치 📌 감전의 위험성은 전압보다 전류의 크기에 의해 결정됨!2. 감전 위험 요소의 주요 영향력 (순서 중요) 📌 감전의 위험성은 아래 4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통전 전류 크기 > 통전 시간 > 통전 경로 > 전원의 종류 ① 통전 전류 크기 (전류의 세기) – 감전 위험성에 가장 큰 영향 전류의 크기가 클수록 감전 위험성이 급격히 증가1mA 이하: 대부분 감지 불가5mA: .. 2025. 3. 14.
인체 최소 감지 전류란? 1. 인체 최소 감지 전류란? 인체 최소 감지 전류란 사람이 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전류량을 의미합니다.일반적으로 1mA(밀리암페어) 이하의 전류는 대부분 감지하지 못하지만, 1~5mA 정도가 되면 전기적 자극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전류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전압보다 전류의 크기에 의해 결정됨✅ 전류량이 증가할수록 감전 위험이 커지며, 심한 경우 근육 경련, 심정지 등 치명적인 피해 발생 가능2. 인체 최소 감지 전류 기준 📌 전류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mA 단위 기준)  전류(mA) 인체 반응 및 감전 영향0.5mA 이하대부분 감지 불가1mA ~ 5mA약한 따끔거림 또는 간지러움 느낌 (최소 감지 전류)5mA ~ 10mA전류 흐름이 명확히 느껴지며 불쾌한 자극10mA ~ 20mA근육 .. 2025. 3. 14.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작성 대상 사업 (제조업) 1. 유해·위험방지계획서란?유해·위험방지계획서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제출해야 하는 안전관리 계획서입니다.특히 제조업에서 전기사용설비의 합이 300kW 이상인 경우, 특정 업종에 해당하면 제출이 의무화됩니다. ✅ 법적 근거:산업안전보건법 제42조: 사업주는 위험성이 높은 공정을 신설·이전·변경할 경우,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에 제출해야 함.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87조: 계획서 제출 대상 업종 및 기준을 명확히 규정.📌 목적:산업재해 예방 및 근로자 보호유해·위험 요인 사전 점검 및 안전 대책 마련사고 발생 시 피해 최소화 및 대응력 강화2.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작성 대상 사업 (제조업 기준) 📌 전기사용설비의 정격용량 합이 300kW 이상이면서 아래 업종 중.. 2025. 3. 14.
안전/보건 표지의 색채,색도기준 및 용도 산업현장에서 안전보건 표지(Safety and Health Signs) 는 위험 요소를 경고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안전보건 표지는 명확한 색채(Color), 색도(Color Standards), 용도(Usage) 기준을 따라야 하며, 「산업안전보건법」 및 KOSHA(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의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안전보건 기준 표지의 색상(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녹색, 흰색, 검은색), 색도 기준 및 용도를 상세히 정리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1. 안전보건기준 표지란? ✅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작업장 내 위험 요소를 알리는 시각적 표시✅ 색상과 기호를 활용하여 즉각적인 인식 가능✅ 국제표준(ISO 3864-1,.. 2025. 3.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