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57 보상식 열감지기란? 화재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가장 중요한 장치 중 하나가 바로 화재 감지기입니다. 그중에서도 보상식 열감지기는 정온식과 차동식의 장점을 모두 결합한 방식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감지기입니다. 이 글에서는 보상식 열감지기의 원리, 특징, 장단점, 설치 기준 등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보상식 열감지기란? 보상식 열감지기는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거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중 하나라도 충족되면 작동하는 감지기입니다.즉, 정온식 감지기 + 차동식 감지기의 특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 더 넓은 환경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보상식 열감지기 작동 원리 보상식 감지기 내부에는 두 가지 센서 메커니즘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정온식 기능:설정된 기준 온도(예: 70℃)에 도달하면 작동차동식 기능:단시간 .. 2025. 3. 27. 정온식 스포트형 열감지기 (바이메탈, 금속팽창계수) 정온식 스포트형 열감지기는 일정 온도에 도달했을 때 작동하는 점형화재 감지기로, 화재로 인해 주위 온도가 상승하면 미리 설정된 온도에서 즉시 경보를 울리는 장치입니다. 주로 천장에 부착되어 공간 내 온도 변화를 감지하며, 다양한 구조 방식에 따라 정확하고 안정적인 화재 감지를 수행합니다. 이 감지기의 대표적인 작동 원리는 다음 세 가지 방식으로 분류됩니다.1. 바이메탈 활곡형 작동 원리: 두 종류의 금속을 붙여 만든 바이메탈이 열에 의해 휘어지는 성질을 이용설명: 서로 팽창계수가 다른 금속이 온도 상승 시 서로 다른 비율로 팽창하면서 바이메탈이 휘어짐. 휘어진 금속이 전기 접점을 연결하면서 감지기 작동특징: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 비용이 낮음용도: 일반적인 실내 환경, 상업용 건물 등에 널리 사용예: 바.. 2025. 3. 27. 서미스터(NTC, PTC, CTR)란? 서미스터(Thermistor)는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하는 특성을 가진 온도 감지 센서입니다. Thermistor는 "Thermal + Resistor"의 합성어로, 온도 변화에 민감한 저항기를 의미합니다. 주로 온도 측정, 과열 보호, 정밀한 온도 제어 등에 사용됩니다.서미스터는 크게 NTC, PTC, CTR 세 가지 종류로 나뉘며, 각각의 특성과 용도가 다릅니다.1. NTC 서미스터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특징: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값이 감소작동 원리: 열이 올라가면 전자의 움직임이 활발해져 전류 흐름이 쉬워지므로 저항이 줄어듬주요 용도: 온도 센서, 전자기기의 온도 제어, 배터리 보호회로 등대표 예시: 노트북 배터리 온도 측정,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보호 .. 2025. 3. 27. 비화재보 우려장소 적응감지기는?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고 대형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화재 감지기는 반드시 필요한 장비입니다. 하지만 일부 장소에서는 정상적인 상황에서도 감지기가 잘못 작동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를 비화재보 우려장소라고 하며, 이 경우에는 특수한 감지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비화재보 우려장소란? 비화재보란 말 그대로 화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감지기가 오작동하여 경보가 울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소방 출동이 반복되면 불필요한 인력 낭비는 물론, 실제 화재에 대한 대응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대표적인 비화재보 우려장소 지하층·무창층 등 환기가 잘 되지 않는 장소→ 연기나 열이 쉽게 빠지지 않아 오작동 가능성 높음실내면적이 40㎡ 미만인 협소한 공간→ 작은 공간에서도 미세한 연기나 열에 민감하게 반응감지기 부착면.. 2025. 3. 27. 압전 효과란? 압전 효과는 물리적인 압력을 가했을 때 전기를 발생시키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전기를 가하면 형태가 변하는 현상도 포함됩니다. 이 현상은 특정한 결정 구조를 가진 압전 소재에서 나타납니다. 어떻게 작동하나요? 압전 효과는 비대칭 결정 구조를 가진 물질에서만 발생합니다. 외부에서 힘(압력이나 진동 등)을 가하면 내부의 전하들이 정렬되어 전압이 생성됩니다. 대표적인 압전 소재로는 석영(Quartz), 세라믹(PZT) 등이 있습니다. 압전 효과의 종류 정압전 효과 (Direct Piezoelectric Effect)압력을 가했을 때 전기를 생성하는 현상예: 센서, 마이크로폰역압전 효과 (Inverse Piezoelectric Effect)전기를 가했을 때 물질이 변형되는 현상예: 초음파기기, 스피커, .. 2025. 3. 27. 아파트 고층일수록 수압이 낮다? 1. 아파트 고층에서 수압이 낮은 이유는? 아파트에 살면서 고층으로 올라갈수록 샤워기나 수도에서 나오는 물의 압력이 약해지는 경험을 한 적이 있나요?일반적으로 아파트의 층수가 높아질수록 수압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일이 발생하며, 해결 방법은 무엇일까요?2. 아파트 고층에서 수압이 낮아지는 주요 원인 ✅ 1) 중력과 수압의 관계 수압(Water Pressure)은 중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물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지 않으므로, 고층으로 갈수록 압력이 낮아집니다.10m 높이마다 약 0.1MPa(1bar) 정도의 압력 손실이 발생합니다. ✅ 2) 급수 방식의 차이 (저수조 vs 직수 시스템) 저수조 방식: 건물 지하 또는 옥상에 물탱크를 설치한 후.. 2025. 3. 18. 이전 1 2 3 4 5 ··· 2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