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소방

박물관 화재시 대처방법

by safetymasteryu 2025. 2. 1.
반응형

 



박물관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문화재와 귀중한 유물을 보호하면서 화재를 진압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 건물과는 다른 소화시설이 설치된다. 주요 소화시설과 대처 방법을 설명


1. 박물관에서 사용하는 주요 소화시설

 

① 자동화재탐지설비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 열, 불꽃을 감지해 즉시 경보를 울려 대피를 유도함.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불꽃 감지기 등이 있음.

② 가스계 소화설비 (청정 소화설비)


유물을 보호하면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물 대신 가스를 방출함.

종류: 이산화탄소(CO₂), FK-5-1-12(노벡 1230), IG-541(아르곤계 소화약제) 등

산소 농도를 낮추거나 화학적으로 불을 끄는 방식으로 작동함.



③ 미분무(미스트) 소화설비


초미세 물입자를 분사하여 유물에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화재를 진압함.

물 사용량이 적고, 급속 냉각 효과가 뛰어나 문화재 보호에 적합함.


④ 스프링클러 설비


물을 이용한 대표적인 자동 소화설비지만, 유물 보호를 위해 제한적으로 사용됨.

일반적으로 수장고(보관소)보다 전시실이나 복도 등에 설치됨.


⑤ 포소화설비


기름 등의 가연성 액체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되며, 유물 보관구역에는 잘 사용되지 않음.





2. 박물관 화재 시 대처 방법

 

① 초동 대처 (초기 화재 시)


화재 감지기가 경보를 울리면 즉시 화재 발생 위치를 확인함.

소화기나 소화전을 사용해 초기 진화 시도 (단, 유물에 손상이 가지 않는 방법 선택).

가능하면 전기 차단(화재 원인이 전기일 가능성이 있음).


② 인명 대피


화재 확산 시, 방송 및 유도등을 따라 신속히 대피.

엘리베이터 사용 금지 → 계단 이용.

연기를 피하기 위해 낮은 자세 유지 및 젖은 천으로 입과 코를 가림.

장애인, 어린이, 노약자는 우선적으로 구조 유도.


③ 유물 보호


소화설비 작동 전, 소방용 방수포나 방재장비로 유물 보호.

불길이 커지면 유물 이동보다는 인명 안전이 우선.


④ 소방대 도착 후 협조


박물관 관계자는 소방관에게 유물 위치 및 주요 진입로 안내.

소방 설비의 작동 상태를 점검하고, 가스계 소화설비 작동 여부 확인.





3. 박물관 화재 예방 방법


● 전기 배선 점검 및 과부하 방지.

● 난방기구 및 조명 기구 관리 철저.

● 방화구획(방화문, 방화셔터) 정상 작동 확인.

● 소방훈련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직원 교육 강화.


박물관에서는 유물을 보호하면서도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중요해. 대피 훈련과 방화 대책을 잘 마련해두면 피해를 최소화가 필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