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인승 이상 자동차 소화기 설치, 배치 의무화가 24년 12월 01일일 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에어로졸식은 안되며 소화기에 반드시 자동차겸용 표시 확인해야 합니다.
1. 소화약제 종류
차량 화재는 연료(휘발유, 경유 등), 전기 장치, 플라스틱, 고무 등의 복합적인 연소로 발생합니다. 차량 화재에 적합한 소화약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ABC 분말 소화기: 차량 화재에 가장 많이 사용되며, 고체, 액체, 가스 화재 모두에 효과적입니다.
○ 이산화탄소(CO₂) 소화기: 전기 화재 진압에 적합하며, 잔여물이 남지 않아 전자 장치에도 안전합니다.
○ 청정소화약제_할로겐(HFC, FK-5-1-12): 전자기기 및 엔진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환경 친화적인 약제입니다.
2. KFI 인증 제품 사용
차량용 소화기는 반드시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 인증을 받은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KFI 인증은 소화기의 성능, 품질, 안전성을 보증하며, 법적으로도 인증받은 소화기 사용이 요구됩니다. 인증 여부는 제품의 라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소화기 용량
차량 내부 공간을 고려하여 소형(1kg~2kg) 소화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화기가 너무 크면 차량에 보관이 어렵고, 반대로 너무 작으면 화재 진압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4. 소화기 배치 위치
운전석 또는 조수석 하단, 트렁크 등 손이 쉽게 닿는 위치에 고정해야 합니다.
급박한 상황에서도 바로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하게 보관하십시오.
차량 화재 시 대피 방법
1. 초기 화재 진압
화재 발생을 인지하면 즉시 차량을 도로 가장자리로 정차합니다.
차량 키를 빼고 시동을 끈 뒤, 소화기를 가지고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화재가 초기 단계라면 소화기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합니다.
소화기 사용방법 :
1. 핀을 뽑고
2. 노즐을 화염의 기저부(불의 뿌리)로 향하게 하고
3. 손잡이를 쥐며
4. 좌우로 골고루 뿌립니다.
2. 우선 대피
화재가 빠르게 번질 경우, 소화기로 진압하려 하지 말고 즉시 대피합니다.
차량에서 떨어져 안전한 거리(최소 30m 이상)로 이동하며, 지나가는 차량 및 사람들에게 위험을 알립니다.
3. 구조 요청
대피 후 119에 신고하여 화재 발생 위치와 상황을 정확히 알립니다.
차량 내부에 사람이 남아 있을 경우 즉시 구조를 요청하십시오.
차량 화재 예방
1. 차량 점검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배선, 연료 누출 등을 사전에 방지합니다.
2. 차량 내 인화성 물질(라이터, 스프레이 등)을 보관하지 않습니다.
3. 차량용 소화기를 반드시 구비하여 초기 화재에 대비합니다.
결론
차량 화재에 대비하기 위해 ABC 분말 소화기(자동차 겸용 표시)를 선택하고, 반드시 KFI 인증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화재 발생 시 초기 진압을 시도하되, 안전이 최우선이며, 대피 및 신고를 우선으로 해야 합니다.
'안전 >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행기 화재 시 기내에서 할론 소화기 사용시 주의사항 (0) | 2025.02.01 |
---|---|
명절 식용유 화재 시 대처방법 (0) | 2025.01.26 |
전기자동차 배터리 화재발생 이유 (0) | 2025.01.18 |
아파트에 불났을때 화재층의 위층,아래층 대피방법 (0) | 2025.01.18 |
화재시 연기가 더 위험 하다고? (0)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