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화재는 빠르게 확산될 수 있어 상황에 따른 적절한 대처가 중요합니다. 특히 중간층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위층과 아래층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화재 확산 방향에 따라 각각의 대피 요령을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아래는 화재 발생 시 아래층과 위층 주민의 대피 요령을 안내합니다.
1. 화재 발생 시 모든 층 대피 방법
1. 화재 경보 알리기
화재를 발견하면 즉시 "불이야"라고 외치거나 경보 장치를 작동시켜 주변에 화재 상황을 알립니다.
2. 119 신고
화재 장소, 위치, 화재 크기 등을 정확히 신고합니다.
3. 젖은 수건이나 마스크 준비
연기를 흡입하지 않도록 젖은 수건이나 옷으로 코와 입을 가리고 낮은 자세로 이동합니다.
4. 엘리베이터 금지
엘리베이터는 화재 시 전원이 차단될 위험이 있고, 엘리베이터 기다리는동안 연기흡입 할 수 있으므로 계단을 이용합니다.
2. 화재층의 아래층(화재층 아래) 대피 요령
아파트 화재층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아래층 주민들은 화재가 확산되기 전에 빠르게 대피해야 합니다.
1. 화재 위치 확인
화재가 계단이나 출입구 근처에서 발생했다면 대피 경로를 다른 방향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2. 외부로 신속히 이동
아래층 주민은 화재 발생 지점에서 멀리 떨어진 출입구를 통해 건물 밖으로 빠르게 대피합니다.
3. 창문 통한 대피 준비
화재로 인해 출입구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창문이나 베란다에서 구조 요청을 준비합니다. 가능하면 비상 로프를 사용해 안전하게 탈출합니다.
4. 화재로 인한 물건 낙하 주의
위층에서 불이 번질 경우 낙하물에 주의하며 안전한 위치로 대피합니다.
3. 화재층의 위층 대피 요령
화재는 연기가 위로 퍼지기 때문에 위층 주민들은 특별히 연기 피해를 주의해야 합니다.
1. 문 손잡이 확인 후 탈출
방 문 손잡이가 뜨겁지 않다면 문을 조심히 열고 외부 상황을 확인하며 이동합니다. 뜨겁다면 문을 열지 않고 대체 대피 방법을 선택합니다.
2. 계단 이용 시 연기 주의
위층 주민은 계단을 이용해 아래층으로 이동해야 하지만, 연기가 계단으로 올라올 가능성이 높으므로 낮은 자세로 이동합니다.
3. 피난 대피 공간 이용
아파트에는 피난 대피 공간(옥상 대피소, 비상 계단 등)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해 대피합니다.
4. 구조 요청 및 시간 이용
연기가 심해 이동이 불가능하다면 베란다 창문을 통해 구조 요청을 하고 문틈에 젖은 수건을 끼워 연기 유입을 차단합니다. 화재 진압과 구조를 기다리며 침착하게 대처합니다.
4. 화재 발생 시 대피 전 꼭 기억해야 할 사항
● 불,연기 반대 방향으로 이동
화재 확산 방향을 주의 깊게 확인하고 불길이 닿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 귀중품 미련 버리기
생명을 우선시하며 귀중품이나 물건을 챙기려 시간을 지체하지 않습니다.
● 문사이 연기 차단
대피가 어려운 경우 젖은 수건이나 담요로 문틈을 막아 연기의 유입을 최소화합니다.
● 소화기 활용하기
대피가 불가능한 경우 초기에 소화기로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가 커질 경우 대피를 우선합니다.
5. 대피 후 안전 조치
1. 대피 장소로 이동
화재 대피 후에는 지정된 집합 장소로 이동하여 가족 및 이웃의 안전을 확인합니다.
2. 화재 현장 접근 금지
불이 진압되기 전까지 현장에 다시 접근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아파트 화재는 순식간에 확산될 수 있어 정확한 대피 요령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재층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위층과 아래층 주민들은 각자의 상황에 맞는 대처법을 따라 침착하게 대피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예방과 초기 대응이 화재로부터 생명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열쇠입니다.
'안전 >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량용 소화기(자동차 소화기) 5인승 이상 자동차, 24년 12월 01일 이후 법적 의무 배치 (0) | 2025.01.23 |
---|---|
전기자동차 배터리 화재발생 이유 (0) | 2025.01.18 |
화재시 연기가 더 위험 하다고? (0) | 2025.01.17 |
이산화탄소 소화장치란? (0) | 2025.01.17 |
내화전선과 내열전선의 차이점 (0)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