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소방

전기자동차 배터리 화재발생 이유

by safetymasteryu 2025. 1. 18.
반응형

 

 

전기 자동차 배터리는 리튬이온전지가 주로 사용 되는데 리튬이온전지는 에너지밀도가 높아 이용이 많이 되지만 화재 위험성이 높다.



1. 전기자동차 배터리 화재 원인

 

열폭주:

내부 단락, 과충전, 충격 등으로 인해 배터리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며, 분해 반응이 촉진되어 발화 및 폭발로 이어질 수 있음.

내부 단락:

양극과 음극이 접촉하여 전류가 급격히 흐를 때.


외부 충격:

배터리 물리적 손상으로 화학 반응 발생.


과충전/과방전:

전극의 분해 반응

 

가스 방출

배터리 내부의 전해질 분해로 인한 가연성 가스(메탄, 일산화탄소 등) 발생.

2. 전기자동차 화재 특성

고온 발화점

리튬이온전지의 발화 온도는 일반적으로 150~200°C로, 열폭주가 시작됨.

급격한 온도 상승

열폭주가 발생하면 온도가 1000°C 이상으로 급격히 상승하여 주변으로 화재 확산 가능.

가스 및 화염 방출


○ 화재 시 전해질 분해로 인해 다량의 가연성 가스와 유독성 가스가 방출됨.

○ 방출된 가스는 폭발 가능성이 높음.
재발 가능성 있음

○ 리튬이온전지의 열폭주가 멈춘 후에도 열과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재발화 가능.

셀 확산 위험

○ 셀 간 열 전도와 화염 확산으로 인해 배터리 팩 전체가 발화할 가능성이 높음.

3. 진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됨

○ 전기 화재 특성: 물을 사용하면 감전 위험이 발생할 수 있음.

○ 산소 필요 없음: 리튬이온전지의 화학 반응은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일반 소화기는 효과가 제한적.

○ 냉각 필요성: 열폭주를 멈추기 위해 충분한 냉각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물이나 특수 소화제가 사용됨.


4. 발생하는 유독물질로 인한 피해

화학 물질: 전해질의 분해로 인해 유독성 가스(불화수소, 일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등) 발생.

금속산화물: 리튬 및 기타 금속 산화물이 생성되며, 이는 환경 및 건강에 악영향을 미침.


5. 예방 및 진압 방법

예방 조치


○ 과충전 방지 회로 설계(배터리 관리 시스템, BMS).

○ 배터리 팩에 열 방출 설계 적용.

○ 인증된 충전기 및 배터리 사용.

진압 방법


○ 특수 소화제: 배터리 화재 전용 소화제(예: 리튬 전지 소화용 분말) 사용.

○ 격리: 인접 셀로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해 열 차단.


리튬이온전지 화재는 전기 화재 및 화학 화재의 복합적인 특성을 가지며, 적절한 예방 및 대응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반응형